화이트리스트의 내전 "전쟁": NFT 하나를 사기 위해 플레이어는 18가지 무공을 연마했다
원문 저자:0x21
원문 제목:《[NFT를 사기 위해 영어와 그림을 배웠습니다]》(https://mp.weixin.qq.com/s/QfHQJrhT2dPIrj12YyUvPg)
새해가 시작되면서 NFT 시장은 다시 한 번 전례 없는 호황을 맞이했습니다. 1월이 막 지나갔을 때, OpenSea 시장의 거래액은 역사적인 신기록을 세웠습니다. Dune Analytics의 데이터에 따르면, 1월 17일 기준으로 OpenSea의 월 거래액은 34억 달러에 달하며, 사용자 수는 100만 명을 초과했습니다.
이전의 정점과 비교할 때, 현재의 NFT 프로젝트는 질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프로젝트 측도 점점 더 성숙하고 전문화되었습니다. 잘 만들어진 프로젝트는 자연스럽게 많은 수집가들의 눈길을 끌며, 열기가 높아짐에 따라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2차 시장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매 시의 높은 수수료와 2차 시장의 비싼 가격은 일반 플레이어에게 화이트리스트가 유일한 출구가 되게 만들었습니다.
최근에 발매된 두 개의 프로젝트인 Azuki와 X Rabbits Club(냉토끼)를 예로 들면, Azuki는 1ETH의 네덜란드 경매로 공매를 진행하여 3분 이내에 모두 매진되었습니다. 화이트리스트를 가진 수집가는 0.5ETH의 가격으로 사전 판매에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현재 Azuki는 2차 시장에서 약 2.5ETH에 판매되고 있으며, 화이트리스트를 얻은 사용자는 쉽게 2ETH를 벌 수 있습니다.
X Rabbits Club 냉토끼는 더욱 그러합니다. 0.0502ETH의 사전 판매 가격으로, 각 사전 판매 자격으로 두 개의 NFT를 주조할 수 있습니다. X Rabbits Club의 사전 판매가 끝날 때 바닥 가격은 이미 1.5ETH에 달했으며, 화이트리스트 소지자는 3ETH 이상의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화이트리스트 소지자의 위험은 매우 낮으며, 대부분은 예술 창작, 활발한 채팅 등 커뮤니티 기여로 얻은 것입니다.
어떤 커뮤니티 구성원은 농담을 하며 "NFT는 개인의 자기 수양을 크게 향상시켰다. 영어 성적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음악과 그림도 배웠고, 가장 중요한 것은 예의 바르게 대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이것은 농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현재 화이트리스트가 얼마나 "경쟁적"인지 드러냅니다.
청동급:교착 상태
화이트리스트는 프로젝트 측이 수집가를 유치하는 주요 방법으로, 커뮤니티 구성원은 PoW(작업 증명)를 통해 커뮤니티 홍보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화이트리스트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처음에 화이트리스트는 프로젝트 초기의 지지자와 특별 기여자를 격려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커뮤니티 구성원이 늘어남에 따라 프로젝트 측은 화이트리스트 획득의 난이도를 높이기 시작했습니다.
0N1 Force의 발매를 예로 들면, 2021년 7월 중순, 0N1 Force는 그 달 가장 잠재력이 큰 프로젝트 중 하나로, Discord 커뮤니티에는 1만 명 이상이 몰렸습니다. 커뮤니티 발매 전에 점점 더 많은 구성원이 모이자 팀은 즉시 화이트리스트 규칙을 발표했습니다. Discord 내장 Rank 기계에 따라 순위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화이트리스트를 배포했습니다.
이런 간단하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화이트리스트는 "경쟁"이 시작되었습니다. 0N1 Force의 성공은 많은 NFT 프로젝트가 이를 모방하게 만들었지만, 동시에 "과학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다양한 "답변이 아닌" Discord 봇이 커뮤니티를 채우게 되어 일반 플레이어는 대응하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많은 프로젝트는 공정성을 추구하기 위해 새로운 화이트리스트 배포 방식을 시도하기 시작했습니다.
작년 8월 말, NFT 시장은 이전의 열풍의 정점에 도달했으며, 많은 프로젝트의 방식과 전반적인 수준이 질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MekaVerse는 그 중에서도 두드러진 존재로, 20만 커뮤니티 구성원이 반개월 만에 커뮤니티에 몰려들었고, 채팅을 통해 화이트리스트를 얻는 데 익숙한 플레이어들은 커뮤니티의 모든 채널을 막아버렸습니다.
공정성을 보장하면서 플레이어가 가스 전쟁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MekaVerse는 지갑 주소 등록 추첨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플레이어 간의 경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많은 플레이어가 "지갑 주소 수"를 늘리기 시작했고, 대량으로 지갑 주소를 등록하여 당첨 확률을 높이는 것이 플레이어의 "전략"이 되었습니다.
10월 초 최종 발매 시점에 총 17만 개의 지갑 주소가 추첨에 참여했으며, MekaVerse의 공식 웹사이트는 하루에 460만 회의 방문 수를 기록했습니다. 전례 없는 대규모 커뮤니티에 직면한 MekaVerse의 지갑 주소 추첨 방식은 가능한 한 공정성을 보장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 방식은 현재 많은 프로젝트 측에서 참고하고 있습니다.
황금급:'혼'에서 '舔'으로
앞서 언급한 "채팅 업그레이드"와 "주소 추첨" 두 가지 방식이 프로젝트 측이 설정한 객관적인 메커니즘이라면, 이후에는 프로젝트 측이 일방적으로 플레이어 간의 "상호 경쟁"을 유도하게 됩니다.
로봇의 채팅 업그레이드 방해를 피하고, 기여 없이 "추첨"만 하는 플레이어를 배제하기 위해 HAPEBEASTGANG을 선두로 한 일련의 NFT 프로젝트는 창작과 활발함을 중심으로 한 인위적인 선별을 시작했습니다. 이번에는 공정해 보이는 방식이지만, 실제로는 "경쟁"이 극대화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로봇 채팅을 피할 수 있지만, 모든 플레이어가 장시간 활발함을 유지할 충분한 시간과 에너지를 가진 것은 아닙니다. 게다가 예술 창작의 진입 장벽이 높아 많은 일반 플레이어가 기회를 잃게 됩니다. 수요가 있으면 시장이 생기기 마련이므로, 일부 플레이어는 관점을 바꾸어 대화, 초대, 창작 대행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律动 BlockBeats에 따르면, 현재 대행 초대의 단가는 약 6위안이며, 대화 대행은 등급 제한에 따라 600에서 1000위안 사이의 가격 범위가 있으며, 창작 대행은 종류에 따라 가격이 약간 다릅니다. 경제적 여유가 있는 일부 플레이어는 대화 대행자를 찾고, 다른 사람들은 직접 "경쟁"하여 각 신규 커뮤니티 구성원의 질문에 답변하고, 창작물은 처음에는 간단한 그림에서 모래 그림, 3D 작품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Voyagers: UnKnown 커뮤니티의 모래 그림)
이러한 형태는 프로젝트 측에겐 훌륭한 홍보 방식이자, 비용을 지불한 플레이어와 프로젝트 간의 경제적 유대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플레이어 간의 상호 경쟁을 초래하여 화이트리스트를 얻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게 됩니다.
결국, 글의 시작 부분에서 커뮤니티의 농담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NFT는 개인의 자기 수양을 크게 향상시켰다. 영어 성적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음악과 그림도 배웠고, 가장 중요한 것은 예의 바르게 대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대부분의 프로젝트 측에서 채택하는 화이트리스트 배포 방식입니다.
최강자: 기르기
현재 새로운 열풍이 다가오면서, 몇몇 고열도의 프로젝트는 아직 발매되지 않았지만 화이트리스트의 난이도를 새로운 높이로 끌어올렸습니다. 대화 대행, 창작 대행 외에도 화이트리스트 판매가 일반화되었습니다.
Invisible Friend는 미술적으로 뛰어난 제작으로 빠르게 많은 플레이어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만 명 이상의 활발한 커뮤니티가 형성되었고, 화이트리스트는 앞서 언급한 방식 외에도 새로운 조건이 추가되었습니다. 3개에서 4개의 SlimHood NFT 또는 MoodRoller NFT를 보유하면 Invisible Friend의 화이트리스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화이트리스트를 얻기 위해 플레이어는 원래 바닥 가격이 0.1 ETH인 NFT 프로젝트 SlimHood의 바닥 가격을 순식간에 1ETH 이상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이로 인해 Invisible Friend 화이트리스트의 비용은 3ETH에 달하게 되었고, 4ETH 정도의 가격으로 화이트리스트를 외부에서 판매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동시에 등장한 WGMI Interfaces도 뛰어난 성과를 보였지만, WGMI Interfaces는 아예 Discord 커뮤니티를 포기하고 홍보 전선을 Twitter로 옮겼습니다. 상대적으로 WGMI Interfaces의 화이트리스트는 더 어렵게 얻을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Twitter에서 지속적으로 창의적인 작품을 업데이트하고 트윗을 리트윗해야 화이트리스트를 받을 자격이 주어집니다.律动 BlockBeats에 따르면, WGMI Interfaces의 화이트리스트 가격은 약 3ETH입니다.
(WGMI Interfaces 팬 작품)
화이트리스트가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전체 프로세스는 작은 규모의 산업 체인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극단적인 것은 아닙니다. Mutant Shiba Club과 Starcatchers라는 최근에 운영을 시작한 두 개의 NFT 프로젝트는 폐쇄 커뮤니티 방식을 채택하여, 처음으로 Discord 커뮤니티에 들어간 플레이어 외에는 나머지 사람들이 커뮤니티에 들어가려면 공식 Twitter의 활동을 통해 퍼즐을 풀어야 하며, 매번 활동마다 최대 100명에서 200명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일반 플레이어는 화이트리스트를 얻는 것은커녕 커뮤니티에 들어갈 자격조차 없으며, 더 나아가 이미 커뮤니티에 들어간 Discord 계정을 판매하기도 합니다. "경쟁" 화이트리스트는 "경쟁" 커뮤니티 자격으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이미 커뮤니티에 들어간 구성원도 겨우 화이트리스트 참여의 문턱에 발을 디딘 것에 불과하며, 창작과 활발함은 여전히 필수적입니다. 프로젝트 측의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원들은 "경쟁"을 시작하게 됩니다.
(Starcatchers의 팬 작품)
이러한 큰 경쟁 압박 속에서, 일부는 비정상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자신의 이력서 템플릿을 정성껏 준비하고, 프로젝트 측에 자신의 풍부한 이력과 지식, 기술을 설명하여 커뮤니티의 관리자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커뮤니티 내의 구직 이력서)
화이트리스트의 "전쟁"은 더욱 격화되고 있으며, 이 디자인의 초기 의도는 NFT 초기 지지자에 대한 감사의 표현이었습니다. NFT 시장이 날로 뜨거워짐에 따라, 이는 가스 전쟁을 피하는 방식으로 변모했습니다. 현재 우리 눈앞에 있는 것은 처음의 예술 창작에서 진짜 금전으로 변모했습니다. 프로젝트 측은 열기를 얻기 위해서는 "경쟁"할 수밖에 없습니다.
거대한 NFT 시장에서 매일 수백 개의 NFT 프로젝트가 발매되고 있지만, 이 짧은 역사 속에서 실제로 살아남는 것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NFT는 커뮤니티에서 시작되어 커뮤니티에 의존하여 성장합니다. 플레이어는 이익 때문에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다양한 기술을 연마했지만, 프로젝트 측이 실제로 플레이어를 붙잡을 수 있는 것은 과연 얼마나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