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cks Nakamoto 업그레이드, 하나의 두드러진 나비가 준비 중입니다
저자: DeSpread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가능성 보여주기
2023년 초, "각인 (Ordinals)"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도입되면서 네트워크 블록 공간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논란이 촉발되었습니다. 같은 해 5월, BRC-20에 대한 시장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일시적으로 블록을 처리할 수 없게 되었고, 세계 최대의 중앙화 거래소인 바이낸스는 비트코인 출금을 일시 중단해야 했습니다.
Ordinals라는 이름은 "순서대로 배열된 숫자"를 의미하는 ordinal에서 유래되었으며, 2023년 1월 Casey Rodarmor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토콜로, 비트코인 스크립트를 수정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비트코인의 최소 단위인 "사토시 (sats)"에 첨부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각인을 통해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텍스트, 이미지, 음성, 비디오 및 코드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비트코인 생태계에서 이더리움과 마찬가지로 많은 PFP 및 NFT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2023년 4월 24일 기준, 시가총액 상위 10개 NFT 컬렉션; 출처: Coingecko
현재, Ordinals가 등장한 지 1년이 넘은 지금,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NFT 프로젝트 중 3개가 모든 NFT 시가총액 순위에서 상위 10위에 진입했습니다 (NodeMonkes, Runestone 및 Bitcoin Puppets). 이는 비트코인이 실행 가능한 스마트 계약 플랫폼으로서의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비트코인 L2 및 Stacks
이로 인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L2 프로젝트가 급증하게 되었습니다. defillama의 데이터에 따르면, 본 글을 작성하는 시점(4월 15일)에서 "비트코인 사이드체인"으로 분류된 11개 프로젝트가 있으며, 총 TVL은 9억 달러에 가까워졌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가 실제로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L1으로 사용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TVL과 프로젝트 수는 비트코인 내러티브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이들 프로젝트 중 Stacks의 최근 발전은 독특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Stacks는 2017년에 출시된 OG 프로젝트일 뿐만 아니라 2021년부터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스마트 계약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제 Stacks의 현재 상황과 곧 출시될 주요 업그레이드인 "나카모토 업그레이드"에 대해 논의해 보겠습니다.
Stacks의 시작 - Blockstack
Munib Ali의 2016년 TED 강연 영상; 출처: TEDx Talks
2017년, Muneeb Ali 박사는 그의 학위를 마치고 Stacks(당시 Blockstack) 관련 백서를 발표했으며, CoinList에서의 토큰 판매를 통해 5200만 달러를 성공적으로 모금했습니다. 그 이전에 그는 그의 초기 팀과 함께 비트코인 L1에서 Onename이라는 프로토콜과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구축하여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탈중앙화된 신원 및 프로필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2017년에 Stacks의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팀이 더 강력한 플랫폼을 만들도록 자극했습니다.
Blockstack은 기존 인터넷이 중앙 집중식 데이터 저장 및 관리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주권을 가질 수 있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를 만들고, 개발자가 dApps를 쉽게 구축할 수 있는 블록체인 레이어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는 이더리움과 유사합니다.
2019년에는 Blockstack 생태계의 토큰 Stacks(STX)가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로부터 A+ 규정에 따라 승인을 받아 2300만 달러를 성공적으로 모금했습니다. 이는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은 최초의 토큰 판매로, 시장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습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Stacks 팀은 견고한 프로젝트 인프라 구축에 집중했습니다. Stacks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원활하게 통합되는 크로스 체인 합의 블록체인으로, 비트코인에서 프로그램 편집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팀은 Stacks를 위해 맞춤형 프로그래밍 언어인 Clarity를 개발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Stacks는 Union Square Ventures, Harvard Endowment, Winklevoss Capital 및 Naval Ravikant와 같은 저명한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금했습니다.
Stacks 2.0
"나는 비트코인이 가장 좋고 가장 분산된 화폐 레이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유통되는 비트코인 중 1%는 이더리움에서 포장된 비트코인(wBTC) 형태로 발행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계약에서 비트코인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을 특정 스마트 계약 플랫폼에 포장하는 대신, 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스마트 계약 기능을 이식하지 않습니까?" -- 『Bitcoin DeFi? It's a Thing, Says Stacks Founder Muneeb Ali, Decrypt』에서 발췌.
2021년 1월, Blockstack는 Stacks 2.0 메인넷을 출시하여 Stacks 네트워크가 되었습니다. Muneeb Ali의 인터뷰에 따르면, Stacks 2.0의 출발점은 비트코인을 수정하지 않고 스마트 계약 기능을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이식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체인의 설계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탈중앙화 및 보안을 계승하면서도 스마트 계약 기능을 추가하여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높였습니다.
전이 증명 (Proof-of-Transfer)
전이 증명 과정; 출처: stacks.co
Stacks의 합의 메커니즘인 전이 증명(Proof-of-Transfer, PoX)은 소각 증명(Proof of Burn)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으며,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보안을 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각 증명은 작업 증명(PoW) 환경에서 암호화폐를 소각하여 채굴하는 합의 메커니즘을 의미합니다.
광부가 비트코인을 소각하는 "소각 증명"과는 달리, "전이 증명"에서는 광부가 비트코인을 Stacking 과정에 참여하는 STX 보유자에게 전송합니다. 광부(Miner)는 Stacks 노드를 실행하여 채굴 과정에 참여할 수 있으며, Stacks 노드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앵커 체인으로 사용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채굴합니다. 전이 증명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등록 (Registration): 광부는 네트워크에 합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후보 광부로 등록합니다.
- 약속 (Commitment): 등록된 광부는 STX 토큰 보유자에게 비트코인을 전송하여 채굴에 참여합니다.
- 선거 (Election): 검증 가능한 랜덤 함수(VRF)를 사용하여 광부를 선택하며, 선출된 광부는 Stacks 블록체인에서 새 블록을 생성합니다.
- 집합 (Assembly): 선택된 광부가 블록을 생성하고 STX 토큰을 보상으로 받습니다.
선거 절차를 통해 선택된 광부는 Stacks 체인에서 모든 새로운 거래의 해시 값을 비트코인 블록에 기록해야 하며, 전이 증명을 준수하여 비트코인 광부와 Stacks 체인을 유지하는 Stacker 간의 인센티브 시스템을 완성해야 합니다. "Stacking" 작업은 지분 증명(PoS) 네트워크의 "Staking"과 유사하지만, Stacking은 STX를 잠금으로써 앵커 체인 BTC의 토큰을 보상으로 받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광부와 Staker의 구체적인 역할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광부와 Stacker의 역할; 출처: stacks docs
[광부]
- 광부는 Stacker에게 BTC를 전송하여 Stacks의 거래 수수료와 블록 보상을 받습니다.
- 광부가 전송한 BTC의 수량 비율에 따라 각 광부가 VRF를 통해 선택될 확률이 결정됩니다.
- 선출된 광부는 Stacks 체인에서 새 블록을 생성하고 미세 블록을 전파할 권리를 얻습니다.
- 선출된 광부는 STX와 거래 수수료를 블록 보상으로 받습니다.
[Stacker]
- Stacker는 보유한 STX를 일정 기간 잠급니다.
- 독립적으로 Stacking하거나 다른 Stacker와 함께 Stacking(풀링)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Stacker는 BTC 보상을 받기 위해 자신의 BTC 주소를 제공합니다. 보상을 받을 확률은 잠금된 STX 수량에 비례합니다.
- Stacking의 STX는 처음 설정된 잠금 기간이 끝난 후 해제됩니다.
비트코인 L2?
Stacks 2.0의 의미는 Stacks가 메인넷의 시작과 전이 증명 메커니즘의 도입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계약 플랫폼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이를 L2로 간주하는 데에는 몇 가지 논란이 있습니다.
- Stacks 2.0은 자체 토큰을 가지고 있으며, 비트코인 네트워크와는 완전히 다른 독립적인 보안 예산을 가지고 있습니다.
- 보안 예산: 네트워크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으로, 채굴 보상 자금, 운영 비용, 네트워크 수수료 등을 포함합니다.
- L1에서는 자산이 보안 및 검증자가 예치하거나 인출되지 않으며, 이더리움 및 기타 생태계의 L2와는 다릅니다.
위의 이유로 인해 Stacks 2.0을 전통적인 L2와 동일시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Stacks도 사이드체인으로 간주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Stacks 체인에서의 거래는 궁극적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결제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Stacks 체인의 이러한 독특한 구조는 Stacks의 공동 창립자인 Muneeb Ali가 2021년 Decrypt 인터뷰에서 이를 "Layer 1.5"라고 부르게 했습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처음부터 스마트 계약 플랫폼이 아니었기 때문에, 스마트 계약을 도입하거나 확장성을 높이려는 노력은 이더리움 및 EVM 체인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2023년 12월 Spartan Group이 발표한 『BITCOIN LAYERS - Tapestry of a Trustless Financial Era』 기사를 참조하면 비트코인 L2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L2의 삼중 난제; 출처: BITCOIN LAYERS --- Tapestry of a Trustless Financial Era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비트코인 L2의 삼중 난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개방형 네트워크 (Open Network): 연합 모델이 아닌 개방형 네트워크를 채택합니다.
- 새로운 토큰 없음 (No New Token): 새로운 토큰을 도입하지 않습니다.
- 완전한 가상 머신/전역 상태 (Full VM/Global State): 제한된 체인 외 계약 형태가 아닌 "Global State"를 채택합니다.
Stacks는 조건 1과 3을 충족하지만 조건 2는 충족하지 않는 비트코인 L2 솔루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교하자면,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조건 1과 2를 충족하지만 "로컬 합의" 방식을 채택하여 거래를 메인 체인과는 다른 P2P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때문에 조건 3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Stacks 3.0으로 나아가며,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Stacks의 현재 문제
위에서 언급한 Stacks 체인의 독특한 구조는 Stacks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계약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는 이유이지만, 이로 인해 시스템에 몇 가지 문제를 초래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포함됩니다:
- 보안 모델
- Stacks 체인은 독립적인 보안 예산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보안 예산과 다릅니다. 전자는 Stacks 광부가 지불하는 BTC로 정의됩니다.
- 이는 체인의 보안성이 Stacks 광부의 예산에 크게 의존하게 되어 보안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 성능 및 확장성
- Stacks 체인과 비트코인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예: 전이 증명 메커니즘)는 탈중앙화 및 보안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체인 상의 성능과 확장성을 제한합니다.
- 특히 광부 선출을 통해 새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은 Stacks 체인을 비트코인 블록 생성 주기와 연결시켜 거래 확인 지연이 매우 높아지게 합니다.
- 이는 사용자 경험의 결함일 뿐만 아니라 Stacks dApp 개발의 어려움의 근원이기도 합니다.
- MEV 문제
- 상당한 비율의 비트코인 해시율을 가진 비트코인 광부는 자신이 채굴한 비트코인 블록에서 다른 Stacks 광부가 전송한 약속(Commitment) 거래(즉, STX 채굴에 참여하기 위해 BTC를 전송하는 거래)를 검토하여 자신이 Stacks 보상과 거래 수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 목표 및 설계 변경
주요 목표
나카모토 버전은 Stacks 체인의 위의 문제를 해결하고 체인의 성능과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올해 계획된 주요 업그레이드입니다.
- 빠른 블록 (Fast blocks)
- 사용자가 제출한 거래가 하나의 블록 내에서 채굴되고 확인되는 시간이 수십 분에서 몇 초로 단축됩니다.
-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후, 광부 선출 과정을 블록 생성 메커니즘과 분리하여 광부가 다음 광부 선출 과정에 도달하기 전에 여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비트코인을 통한 최종성 (Finality)으로 거래 안전성 구현
- Stacks 체인上的 거래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해시 능력에 의해 보장됩니다.
- 이는 거래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결제되어 가장 안전한 네트워크에서 거래의 변경 불가능성을 보장함을 의미합니다.
- MEV 기능 향상
- STX 보상을 받기 위한 BTC 경매 메커니즘을 개선하여 광부 선출 과정에서의 MEV 문제를 해결합니다.
- 광부 선출 알고리즘을 변경하여 비트코인 광부가 Stacks 광부의 이점을 가지지 않도록 합니다.
블록 생성 메커니즘 및 Stacker 역할 변경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전에 Stacks 체인에서 생성된 블록과 비트코인 블록의 비율은 1:1로 고정되어 있어 블록 생성 시간과 거래 확인 시간이 느려졌습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후, "임기 기반 블록 생산 (Tenure-based block production)" 메커니즘이 도입되어 블록 생성 속도가 빨라집니다. Stacks 체인 내의 하나의 블록은 비트코인 블록과 1:1 대응하지 않으며, 선출된 광부의 임기 내(즉, 비트코인 블록 생성 주기 내) 광부가 여러 Stacks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메커니즘은 블록 생성 및 확인 시간을 약 5초로 단축시켜 Stacks의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이때 생성된 Stacks 블록은 Stacker에 의해 검증됩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전에 Stacker는 STX 토큰을 잠금(Stacking)하여 Stacks 네트워크의 경제적 안전성에 기여했지만,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후 Stacker는 서명자의 역할을 맡아 광부 임기 내에 생성된 각 Stacks 블록을 검증, 저장, 서명 및 전파하는 책임을 집니다. 광부와 Stacker 간의 상호 관계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후 광부와 Stacker(또는 서명자)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출처: stacks docs
- 광부는 Stakers에게 BTC를 전송하여 Stacks 광부의 선출 과정에 참여합니다.
- 새로운 광부가 선출되면 "임기 변경 (tenure change)" 거래가 발생하여 새로운 광부에게 새로운 임기가 부여됩니다.
- 광부는 매초 블록을 생성하고 검증하는 과정에서 Stakers의 서명을 수집해야 합니다.
- 블록 검증에는 최소 70%의 Stacker가 블록에 서명해야 합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광부는 다음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Stacker의 서명이 필요하며, Stacker는 전이 증명 메커니즘 하에서 보상을 받기 위해 서명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자신이 Stacking한 STX 토큰을 해제해야 합니다.
체인 구조 변경으로 비트코인의 최종성 구현
서명자(Stacker)는 임기 변경(또는 광부 선출) 동안 최신 생성된 블록에 대해서만 서명하여 광부가 Stacks 체인을 임의로 분기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는 Stacker가 광부를 감독하고 이전에 생성된 블록을 검증하며, 새로운 블록이 최신 블록을 기반으로 생성되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광부가 거래(임기 변경 거래)를 제출할 때, 이전 임기 내에 기록된 첫 번째 Stacks 블록의 해시 값과 블록 자체의 해시 값을 포함하는 인덱스 블록 해시 값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이는 Stacks 블록체인의 상태가 비트코인 블록에 기록되도록 보장하며, 각 임기마다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 Stacks 블록체인의 역사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기록되도록 합니다.
비트코인 블록, Stacks 블록 및 재고 비트맵 간의 관계도; 출처: stacks docs
따라서 Stacks 블록과 비트코인 블록 간의 관계는 위 그림과 같습니다. Stacks 체인에서 N 기간 동안 제출된 거래는 N+2 기간에 비트코인 블록에 기록되며, 이는 Stacks 거래를 되돌리는 것이 비트코인 블록을 되돌리는 것만큼 어렵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사용자 관점에서 보면, 체인의 구조는 우리가 알고 있는 L2와 동일하며, 거래는 몇 초 내에 확인될 수 있지만 비트코인 결제는 약 30분 정도 걸립니다.
이 시스템은 Stacks 체인의 보안 예산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Stacks 블록 검증 메커니즘은 최소 70%의 Stacker의 서명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Stacks의 보안 예산을 Stacking 자산의 70%까지 높일 수 있게 합니다. 거래가 비트코인의 최종 결제를 실현하면, 이 보안 예산은 비트코인 51%의 채굴 능력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후 Stacks 메커니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광부는 임기 변경 거래를 제출할 때, 이전 임기 중 기록된 첫 번째 블록 해시 값과 함께 인덱스 블록 해시 값을 포함해야 합니다.
- 서명자는 광부가 이전 임기 내 서명된 마지막 블록을 기반으로 다음 블록을 생성하도록 강제합니다.
- N 임기 내 제출된 거래는 N+2 임기 내 비트코인 블록에 기록되며, 비트코인의 최종성을 가집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후 Stacks 체인의 거래 속도가 크게 향상되며 비트코인의 최종성을 실현하여 데이터의 변경 불가능성을 보장합니다. 사용자에게는 더 빠른 거래 확인 속도를 의미하며, 시스템에게는 진정한 비트코인 L2에 가까워지며 비트코인의 보안을 계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 MEV 문제 해결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이전에 Stacks 체인 내의 MEV 문제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발생했습니다. 상당한 비율의 비트코인 해시율을 가진 비트코인 광부는 F2Pool과 같은 광부가 다른 Staking 광부가 비트코인 블록 내에 제출한 거래를 검토하여 자신의 BTC 입찰 금액을 조정하여 Staking 블록의 블록 보상과 거래 수수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Stakers의 BTC 보상을 줄이고 채굴 과정에 대한 신뢰를 손상시킵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는 블록 채굴 과정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새로운 광부 선택 기준을 도입했습니다.
- 광부는 최근 블록에 참여해야 합니다.
- 광부는 최근 10개 블록에 참여한 기록이 있어야 임기 변경 시 선택될 자격이 주어집니다.
- 이 기준은 광부 커뮤니티의 안정성을 촉진하고 블록체인 보상을 훔치려는 시도를 방지합니다.
- 과거 입찰의 중앙값 (Median of Past Bids Method) 고려
- 광부가 선택될 확률은 최근 10개 블록에서 기록된 모든 BTC 입찰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이 기준은 광부가 비정상적인 입찰을 제출하여 블록 보상을 얻는 것을 방지합니다.
- 입찰 총합의 절대값 (Absolute Bid Total) 고려
- 광부 선택 과정은 안정적인 경제 기준을 기반으로 하며, 입찰 총합의 절대값을 고려하고 즉각적인 채굴 환경의 입찰 변수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MEV 방지 기준을 도입함으로써, 나카모토 업그레이드는 Stacks 블록체인 채굴 과정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일 것입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계획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로드맵; 출처: nakamoto.run
2022년 말 sBTC 및 나카모토 백서가 발표된 이후, Stacks 재단과 관련 개발자들은 나카모토 업그레이드를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작업해 왔습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2024년 2월 나카모토의 기능이 최종 확정되고 테스트넷에 통합된 이후 (나카모토 이정표 0.3, 코드명 Argon), 나카모토 업그레이드의 업데이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의 첫 번째 단계는 이미 메인넷에 배포되었으며, 업그레이드는 순차적으로 출시될 것입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는 두 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는 하드 포크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은 "인스턴스화 (Instantiation)"와 "활성화 (Activation)" 두 단계로 나뉘며, 나카모토 업데이트 이후 전체 기능이 활성화되기 전에 최종 조정(예: 버그 수정)을 위한 시간을 허용합니다.
원래 계획
- 1단계: 인스턴스화 (4월 22일 시작)
- POX-4(전이 증명 메커니즘의 업그레이드 버전) 계약과 나카모토 버전에서 포함된 대부분의 코드가 적용되지만, 기능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 서명자와 파트너에게 최소 두 개의 Stacking 주기를 남겨 POX-4 계약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기간 동안 POX-4를 등록한 서명자가 블록을 올바르게 검증했는지 확인하고 활성화 단계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 2단계: 활성화 (예정: 5월 15일 ~ 5월 29일 사이)
- 이 단계에서는 서명자 기반 시스템, 빠른 블록 및 비트코인 최종성을 포함한 나카모토 업데이트가 적용되며, 나카모토 규칙이 활성화됩니다.
- 나카모토 규칙은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전후의 전체 논리를 구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카모토 출시 계획; 출처: Nakamoto Launch: Testnet and Mainnet Rollout Overview
계획의 변경
업그레이드의 첫 번째 단계(인스턴스화)는 4월 22일 시작되었으며, 중대한 버그가 발견되지 않고 인스턴스화가 완료되면 두 번째 단계가 5월 중순에 시작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첫 번째 단계가 시작된 후, 서명자 복구 시스템(Signer Resiliency/Recovery)에서 몇 가지 결함이 발견되어 Stacks 재단은 5월 1일 원래 계획을 수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나카모토 업그레이드의 초기 활성화 단계는 기본적인 서명자 복구 시스템만 포함합니다.
- 고급 서명자 복구 시스템으로의 업그레이드는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활성화 이후 2024년 말에 배포될 예정이지만, 인스턴스화 단계에서 서명자가 입회하고 진전을 이룬 후 고급 서명자 복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 따라서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활성화 단계 이전에 8주간의 개발 시간이 추가되며, 서명자 복구 시스템 코드는 7월 15일에 완료되고,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버전은 8월 28일에 활성화됩니다.
- 작업 내용
- 광부의 서명 초과 및 서명자 오류 복구 능력 강화
- 서명자 반응 및 키 분실 상황에서의 프로세스 강화
- 광부 임기의 생성 및 연장 방식 개선
- 네트워크 불확실성 예방 및 플래시 블록 처리 개선
수정된 나카모토 릴리즈 타임라인; 출처: stacks.org
수정된 계획에 따르면, 코드 개발은 8주 후인 7월 15일에 완료되며, 원래 5월 중순에 예정된 나카모토 업그레이드의 활성화 단계는 약 3개월 후인 8월 28일에 시작됩니다. 좋은 소식은, 원래 3분기에 진행될 예정이었던 sBTC 업그레이드는 지연되지 않으며, 활성화 단계 시작 후 4주 내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BTC - L2 구현의 마지막 퍼즐 조각
나카모토 업그레이드는 5월에 전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목적은 Stacks 체인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Stacks 블록의 비트코인 최종성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L2가 되기 위해서는 나카모토 업그레이드가 성공의 절반에 불과합니다.
비트코인 L2를 구별하는 기준; 출처: light tweet
나카모토 업그레이드가 출시된 후 Stacks는 Sovereign Rollup과 유사한 환경을 갖추게 됩니다. 그러나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원주율 자산인 BTC를 체인으로 가져와 활용해야 진정한 비트코인 스마트 계약 플랫폼 및 L2로서 기능할 수 있습니다. Stacks 창립자 Muneeb Ali는 동일한 트윗에서 BTC를 비트코인 레이어로 이동하고 이동시키는 것이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언급하며, sBTC가 가장 신뢰할 수 없는 브릿지 솔루션에 가깝고, 비트코인 L1을 수정하지 않고 BTC에 대해 페깅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공공 서명자 집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sBTC는 두 가지 주요 속성을 기반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Stacks 체인 간에 BTC 자산의 다리를 놓습니다.
- 1:1 상환성: Stacks 체인이 중단되지 않는 한, sBTC와 BTC는 항상 1:1 비율로 상환될 수 있습니다.
- 개방적인 회원 자격: 누구나 sBTC 프로토콜에 가입할 수 있으며, 어떤 중앙 집중식 실체도 BTC를 통제할 수 없습니다.
이전에는 Stacker 체인에서 xBTC 및 aBTC와 같은 BTC 관련 자산이 존재했지만, 이는 이더리움의 wBTC(랩핑된 BTC)와 같은 중앙 집중식 관리 기관을 통해 다중 서명이 필요한 브릿지 방식에 기반했습니다. 반면 sBTC는 전이 증명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Stacker를 서명자 집단으로 활용하여 신뢰할 수 없는 방식으로 BTC 브릿지를 실현합니다.
sBTC 작동 방식 (1); 출처: stacks docs
sBTC 작동 방식 (2); 출처: sbtc.tech
sBTC의 업데이트 및 구현 계획은 2024년 3분기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나카모토 업그레이드와 sBTC의 업데이트는 Stacks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선호 스마트 계약 플랫폼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이며, Stacks가 진정한 비트코인 L2가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스마트 계약 플랫폼으로서 잠재적인 BTC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합니다.
출처: BITCOIN LAYERS --- Tapestry of a Trustless Financial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