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WA 영구 제품 위기: 왜 GLP 모델은 RWA 영구를 지탱할 수 없는가?
원문: The Genesis Story : How Crypto Found Me
저자: @hmalviya9
편집: zhouzhou, BlockBeats
편집자 주: 현재 RWA 영구 제품(예: Ostium)은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지만, GLP식 유동성 모델은 자금 비용이 높고, 거래자와 LP 간의 제로섬 게임, 헤지 메커니즘 부족으로 인해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플랫폼 확장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반면, HyperLiquid는 더 유연한 HLP 모델을 채택하여 더 나은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Ostium이 주문서 모델로 전환하여 비용을 줄이고 시장 효율성을 높인다면 장기적인 건강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은 원문 내용(읽기 이해를 돕기 위해 원 내용을 일부 재편집함):
지난 한 달 동안, 관세 위기가 다가오고, 통화 시장이 흔들리며, 주식 시장이 심전도처럼 변동하는 가운데 RWA 영구 계약의 사용량이 놀라운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OstiumLabs의 총 예치금은 원래 안정적인 600만 달러에서 불과 한 달 만에 6000만 달러를 넘었습니다. 거래량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HyperLiquid는 @Paxos의 PAXG 영구 계약 시장도 개설했습니다.
암호화 파생상품으로 RWA를 매수하거나 매도하려는 수요가 매우 분명해졌습니다. 문제는 현재의 솔루션이 충분히 좋은가 하는 것입니다. 만약 충분하지 않다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왜 이러한 솔루션이 좋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하는가?
서두에서 저는 두 가지 상반된 관점을 언급했습니다: 한편으로는 거래자들이 RWA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 솔루션이 충분히 좋은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누군가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플랫폼을 선택하고 있으니 현재 RWA 영구 계약이 충분히 좋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몇 가지 데이터를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Ostium의 자금 비용률을 살펴보면, 금 거래 쌍(XAU/USD)의 자금 비용률이 한때 30%에 달했으며, 현재도 13%입니다.
반면, 현재 Bybit에서 BTC의 자금 비용률은 Ostium의 절반 정도이며, Binance와 OKX에서의 BTC 자금 비용률은 Ostium의 약 4분의 1에 불과합니다. 누군가는 이것이 금이 더 잘 나가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금은 올해 현재까지 약 50% 상승했으며, 비트코인도 비슷한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또한 암호화 시장과 전통 금융 시장(예: CME)을 비교할 때 차이는 더욱 뚜렷해집니다. 만약 CME에서 금을 매수하고 포지션을 롤오버한다면, 연간 비용은 약 6%로 Ostium의 최저 자금 비용률의 절반에 불과하며, 600bp의 차이가 납니다.
이렇게 큰 가격 차이를 보고 델타 중립(무방향성 위험) 거래를 하는 독자들은 큰 차익 거래 기회가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stium에서 공매도하여 13%의 자금 비용률을 받고, 동시에 CME에서 매수하여 6%의 연간 비용을 지불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Ostium은 GLP(GMX의 유동성 풀)와 유사한 모델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Ostium에서 공매도를 하게 되면 오히려 13%의 자금 비용률을 지불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델타 중립 거래자나 시장 조성자 모두 유동성을 제공할 동기가 없습니다. 이는 우연이 아니라 Ostium 설계상의 근본적인 문제입니다.
GLP 모델의 지속 불가능성
Ostium과 @GainsNetwork_io가 사용하는 GLP 모델은 간단히 말해 규모화 발전이 불가능합니다.
GLP 모델은 본질적으로 모든 거래자가 프로토콜의 자금 풀과 도박을 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GMX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들의 자금 풀은 GLP라고 불립니다. Ostium에서는 OLP라고 하며, Gains에서는 다양한 g(asset) 금고가 있습니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GLP/OLP 모델과 @HyperliquidX의 HLP 모델은 매우 다르다는 것입니다. HLP의 가격 모델은 숨겨져 있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반면, GLP의 가격은 고정되어 있고 정적입니다.
이는 HyperLiquid에도 기본 유동성 제공자가 있지만, 기본 LP가 유일한 상대방이 아니며, 자금 비용률 메커니즘이 시장을 더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Ostium의 OLP 모델에서는 거래자가 손실을 봐야 OLP의 유동성 제공자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전형적인 제로섬 게임입니다.
또한 HLP 모델이 체인에서 일부 노출을 헤지할 수 있는 것과 달리, OLP 모델에서는 RWA의 위험 노출을 헤지할 안정적인 메커니즘이 없습니다.
OLP 모델은 Ostium이 초기 단계에서 유동성을 빠르게 끌어올리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그들의 지속적인 성장의 장애물이 되었습니다. HyperLiquid가 결국 사용자 거래에 대한 절대적인 상대방 통제를 포기해야 했던 것처럼, Ostium도 미래에 OLP의 가격 결정 권한을 완화해야 더 큰 확장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경고 사례가 이미 나타났습니다: 금 시장의 상대적 점유율에서 현재 Ostium의 금 시장 보유량은 400만 달러에 불과하며, HyperLiquid가 새로 개설한 PAXG 시장의 보유량은 이미 1500만 달러에 달합니다(또한 자금 비용률과 개설 비용도 더 낮습니다).
또한 Ostium의 현재 총 잠금량은 6500만 달러이며, 그 중 5700만 달러, 즉 86%의 자금이 OLP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반면 HyperLiquid는 비율이 약 60% 정도로 상대적으로 더 건강합니다.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이러한 모델은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미래의 가능 방향
위의 문제들이 방치된다면 심각할 수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모델을 변경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Ostium이 주문서 모델로 전환하면 수수료를 낮출 수 있으며, 자금 비용률도 시장 효율성 향상으로 인해 감소할 것이고, 플랫폼은 여전히 거래 수수료로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OLP도 계속 존재할 수 있지만, 더 동적이고 유연한 형태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RWA 영구 개념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이것이 RWA 영구 제품의 유일한 지속 가능한 장기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Ostium뿐만 아니라 Gains 및 모든 관련 프로젝트에도 해당됩니다.
GLP/"카지노식" 모델은 냉시작 단계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장기적인 발전은 비현실적입니다. 이는 여러 차례 검증되었습니다.